728x90 OS103 RunLevel 개요 리눅스 실행레벨(RunLevel)은 유닉스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시스템 관리를 용이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되었다. RunLevel 은 0 ~ 6 번까지 존재한다. 아래에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2024. 2. 14. BIOS Setting(SuperMicro) 개요 PXE/Kickstart를 이용하여 서버에 OS를 설치하기 위해서 BIOS 세팅을 사전에 실시해야한다. 아래는 SuperMicro 사의 서버의 BIOS 세팅 법이다. 2024. 2. 13. 계정관리(사용자 추가 옵션)(1) 사용자 추가 옵션 [root@estar987_LocalPC home]# useradd Usage: useradd [options] LOGIN useradd -D useradd -D [options] Options: -b, --base-dir BASE_DIR base directory for the home directory of the new account -c, --comment COMMENT GECOS field of the new account **-d, --home-dir HOME_DIR home directory of the new account** **-D, --defaults print or change default useradd configuration** -e, --expiredate .. 2024. 2. 13. 계정 관리하기 (3) 사용자 계정 관리 계정 추가 명령어 사용자 추가(useradd / adduser) CentOS / RockyLinux 에서는 useradd 와 adduser 명령어의 차이가 없다. Ubuntu에서는 두 명령어의 차이가 존재해서 다음에 알아보도록 하겠다. [root@estar987_LocalPC ~]# useradd testuser [root@estar987_LocalPC ~]# [root@estar987_LocalPC ~]# cat /etc/passwd | grep 10 games:x:12:100:games:/usr/games:/sbin/nologin qemu:x:107:107:qemu user:/:/sbin/nologin estar987:x:1000:1000:estar987:/home/estar987:.. 2024. 2. 13. 계정 관리하기 (2) 계정 확인 명령어 계정 확인(id / users / who) 현재 사용자의 UID, GID, 그룹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 # id [root@estar987 ~]# id uid=0(root) gid=0(root) groups=0(root) [root@estar987 ~]# [root@estar987 ~]# su estar987 [estar987@estar987 root]$ [estar987@estar987 root]$ id uid=1000(estar987) gid=1000(estar987) groups=1000(estar987) [estar987@estar987 root]$ UID / GID UID(User ID) : 사용자 식별 번호 - 슈퍼유저의 UID = 0 - /etc/passwd 에서 확인 가능.. 2024. 2. 13. 계정 관리하기(1) 사용자 분류 리눅스에서는 사용자를 root(관리자)와 일반 사용자로 구분 각 계정은 UID(User Identif)로 관리한다. 루트 계정 : 모든 권한을 가진 특별한 사용자 시스템 계정 : 리눅스 설치 시 기본으로 생성되는 계정 사용자 계정 : 실제 리눅스 사용자를 위한 계정 Root root(Super User) 계정은 UID 값이 0으로 지정된 관리자 계정이다.여기서는 다른 계정을 생성하거나 권한을 부여하고 비밀번호를 바꿀 수 있다. 즉 모든 권한을 가진 계정이다. 만약 다른계정에 UID값을 0으로 변경한다면 관리자와 마찬가지로 모든 권한을 가질 수 있다. -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는 **관리자 권한의 계정이자 슈퍼 유저** - 리눅스 파일 체제의 최상위 디렉터리(/)로도 표현한다. 일반 사용자 일.. 2024. 2. 13.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1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