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OS106 PXE(FTP)_BIOS/UEFI 개요 FTP 방식으로 Kickstart 자동 설치까지 완료하였다. 아래 포스팅한 방법은 BIOS Legacy 방식으로 한 것이고 이제 UEFI 방식으로 하려고 한다. PXE 기본 설치와 kickstart 과정은 아래 포스팅한 방법으로 완료한 상태로 다양한 시도를 하면서 UEFI 모드로 kickstart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과정들을 기록하려고 한다. https://estar987.tistory.com/38 PXE 설치(FTP 방식) 1. DHCP 서버 설치 yum -y install dhcp-server 혹은 dnf install dhcp-server # vi /etc/dhcp/dhcp.conf # # DHCP Server Configuration file. # see /usr/share/doc/dhc.. 2023. 12. 14. PXE 설치 _ Kickstart 개요 https://estar987.tistory.com/38 PXE 설치(FTP 방식) 1. DHCP 서버 설치 yum -y install dhcp-server 혹은 dnf install dhcp-server # vi /etc/dhcp/dhcp.conf # # DHCP Server Configuration file. # see /usr/share/doc/dhcp-server/dhcpd.conf.example # see dhcpd.conf(5) man page # dhcp_interface="ens34"; subnet 1 www.estar9801.cloud 직전에 포스팅한 FTP 방식의 PXE 설치를 완료하였다면 OS 설치 시 설정까지 자동화 하는 Kickstart를 만들 차례이다. 설정 과정 mkdir.. 2023. 12. 12. 리눅스 하드웨어 확인 명령어 정리 개요 컴퓨터의 하드웨어에는 CPU, 메모리, 저장장치, 그래픽 카드 등 여러 장치들이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각 하드웨어 별로 리눅스에서 확인하는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중앙 처리 장치(CPU) CPU 정보 확인 cat /proc/cpuinfo CPU 코어 전체 개수 확인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물리 CPU 수 확인 grep "physical id" /proc/cpuinfo | sort -u | wc -l CPU 당 물리 코어 수 확인 grep "cpu cores" /proc/cpuinfo | tail -1 cpu model 이름 grep -m 1 'model name' /proc/cpuinfo CPU 아키텍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명령줄 유틸리티(ut.. 2023. 12. 11.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1. 개요 네크워크 설정에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1. GUI 방식 2. 명령어 3. 네트워크 파일 수정 이 방식들 중 GUI 방식이 가장 편하겠지만, GUI 환경을 사용하지 않는 곳이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터미널 창에서 네트워크를 수정하는 것을 연습해야한다. 1. GUI 방식 2. 명령어 네트워크 장치 확인 [root@master ~]# nmcli device DEVICE TYPE STATE CONNECTION ens32 ethernet 연결됨 System ens32 lo loopback 관리되지 않음 -- 네트워크 장치 상세 정보 확인 [root@master ~]# nmcli device show GENERAL.DEVICE: ens32 GENERAL.TYPE: ethernet GENERAL.H.. 2023. 12. 11. PXE 설치(FTP 방식) 1. DHCP 서버 설치 yum -y install dhcp-server 혹은 dnf install dhcp-server # vi /etc/dhcp/dhcp.conf # # DHCP Server Configuration file. # see /usr/share/doc/dhcp-server/dhcpd.conf.example # see dhcpd.conf(5) man page # dhcp_interface="ens34"; subnet 192.168.203.0 netmask 255.255.255.0 { option routers 192.168.203.1; option subnet-mask 255.255.255.0; range dynamic-bootp 192.168.203.33 192.168.203.38; de.. 2023. 12. 11. PXE란 개요 PXE(Pre-boot eXecution Environment) 부팅이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를 부팅할 수 있게 해주는 환경이다. 공부하던 환경과는 다르게 실무에서는 수백 수천 개의 서버를 동시에 운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개별 서버마다 usb를 가져가서 OS를 각각 설치할 수 없다. 그래서 여러 개의 서버에 한 번에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OS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PXE이다. PXE 부팅 작동 원리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전원을 켜면, PXE 부팅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어댑터는 DHCP 서버에 IP 주소를 요청합니다. DHCP 서버는 IP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에게 부트 서버의 주소와 부트 파일의 이름 등 .. 2023. 12. 6. 이전 1 ··· 13 14 15 16 17 1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