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OS103

리눅스 우분투 설치 후 기본 설정 패키지 설치 $ sudo apt -y update $ sudo passwd root $ su - # apt -y install openssh-server vim net-tools ssh 설정 root 계정으로 ssh 접속하기 위한 설정 # vi /etc/ssh/sshd_config 34 PermitRootLogin yes // yes로 변경 58 PasswordAuthentication yes // 주석해제 # systemctl restart sshd 2024. 4. 1.
리눅스 시간 동기화 ntp 관리서버(master)에서 수행 # vi /etc/ntp.conf ---------------------------------------------------------------------------------------- restrictdefaultnomodifynotrapnoquery restrict127.0.0.1 restrict-6::1 restrict192.168.201.0mask255.255.255.0nomodifynotrap #straum2serverlist server127.127.1.0 fudge127.127.1.0stratum10 serverkr.pool.ntp.org servertime.bora.net servertime.kornet.net driftfile/var/lib/n.. 2024. 3. 13.
Bonding Bonding 이란? Linux Bonding (또는 NIC Bonding)은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를 하나로 묶어서 단일 인터페이스처럼 작동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네트워크의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부하 분산(Load Balancing), 그리고 대역폭 증가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Linux 시스템에서는 이를 위해 특별한 커널 모듈과 함께 ifenslave 패키지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습니다. 실습 환경 System - Master - Node01 - Node02 - Node03 - File Network - VM Network0 - 본딩 - VM Network0 - 본딩 - VM Privacy0 == 192.168.234.0/24 사전.. 2024. 3. 13.
Uptime 서론 (시스템 모니터링의 중요성) Linux 시스템 관리에서 모니터링의 중요성 강조 시스템 가동 시간(Uptime)이 왜 중요한지 설명 Uptime 명령어 소개 Uptime 명령어란 Linux 및 UNIX 시스템에서 현재 시스템이 얼마나 오랫동안 실행되었는지,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수와 시스템의 평균 부하를 보여주는 명령어 Uptime 명령어 사용법 기본 사용법: 단순히 터미널에서 uptime 입력 출력 예시 및 설명: * 현재 시간, 시스템 가동 시간, 로그인 사용자 수, 시스템의 평균 부하(1분, 5분, 15분 간격) 포함 출력 내용 이해하기 시스템 가동 시간 : 시스템이 마지막으로 부팅된 이후로 경과한 시간 사용자 수 :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 수 평균 부하 : 특정 시간 간격 동안 시스템에.. 2024. 2. 27.
Rsync 명령어 개요 rsync는 리눅스 및 유닉스 시스템에서 파일과 디렉토리를 동기화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명령어는 네트워크를 통한 효율적인 파일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백업, 미러링, 혹은 단순히 로컬 파일의 복사와 이동에 이상적입니다. Rsync의 기능 및 특징 rsync는 빠르고 범용적인 파일 복사 도구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효율성: rsync는 변경된 부분만 전송하는 '델타 전송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대역폭을 절약합니다. !! 유연성: 로컬과 원격 시스템 간의 데이터 전송이 모두 가능합니다. !! 보안: SSH를 통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증 수단을 제공합니다. !! 사용 편의성: 포괄적인 옵션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전.. 2024. 2. 27.
PXE 설치 시 BIOS / UEFI 자동 선택 개요 기존에는 BIOS 모드와 UEFI 모드로 설치할 때마다 dhcpd.conf 파일을 수동으로 수정하여 OS를 설치하였다. 이를 내가 따로 수정하지 않아도 알아서 BIOS 혹은 UEFI 모드로 선택하여 자동설치 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수정 전 subnet 192.168.203.0 netmask 255.255.255.0 { option routers 192.168.203.254; option subnet-mask 255.255.255.0; range dynamic-bootp 192.168.203.100 192.168.203.230; default-lease-time 3600; max-lease-time 7200; ### pxe setting ### grubx64.efi : UEFI ### pxelin.. 2024. 2. 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