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AI16

[인공지능] XOR 문제를 넘어 : 비선형 데이터 분류를 위한 MLP 설계와 작동 원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XOR 문제처럼 단일 직선으로는 분류할 수 없는 복잡한 비선형 데이터셋을 다루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수적인 인공신경망 모델인 다층 퍼센트론(MLP, Multi-Layer Perceptron)을 설계하고 학습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특히 make_moons와 같은 비선형 데이터셋을 MLP의 은닉층과 비선형 활성화 함수를 사용하여 어떻게 성공적으로 분류하는지 그 원리를 깊이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비선형 데이터셋 분류주요 개념은 비선형성(Non-linearity)을 가진 데이터를 비선형 함수를 포함하는 다층 신경망을 이용해 분류하는 것입니다. 단일 퍼센트론은 선형(직선) 경계만 학습할 수 있지만, MLP는 여러 층과 비선형 활성화 함수를 통해 곡선이나 복잡한 모양의 결정 .. 2025. 10. 26.
[인공지능] 신경망의 필수 요소 : Bias(편향)를 잡을 때와 안 받을 때의 차이 Bias는 단순히 더해지는 숫자가 아니다신경망 학습에서 Bias(편향, b)는 종종 가중치(W)에 가려져 그 중요성이 간과되곤 합니다. 하지만 Bias는 모델이 데이터를 해석하고 결정 경계를 설정하는 유연성을 부여하는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특히 XOR이나 make_moons와 같은 비선형 문제를 해결할 때 Bias의 유무는 모델의 성공과 실패를 가르는 결정적인 차이를 만듭니다. 용어 정리 및 Bias의 역할Bias(b) : 뉴런의 발화 임계점 조절자구분개념IT/ML에서의 역할Bias(b)활성화 함수가 적용되기 전의 선형 합산 결과(W, X)에 더해지는 상수 값활성화 임계점 조절입력 X가 0일 때도 뉴런이 발화할 수 있게 하거나, 발화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입력값을 조절결정 경계 팽행 이동결정 경계가 원.. 2025. 10. 25.
[인공지능] 데이터 준비부터 딥러닝 최적화까지 : 머신 러닝 핵심 개념 흐름 정리 머신러닝과 딥러닝 모델의 성능은 데이터 준비부터 시작하여 알고리즘 선택과 최적화 기법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흐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데이터 처리부터 복잡한 딥러닝 학습 매커니즘까지, 핵심 개념들의 연관성과 흐름을 명확하게 정리하려고 합니다. 모델 학습을 위한 데이터 준비 과정모델이 정확하게 학습하고 일반화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깨끗하고 풍부하게 그리고 공정하게 나누는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데이터 전처리 (Data Preporcessing)모델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원본 데이터를 정제하고 변환하는 과정입니다.목적 : 데이터 품질 개선, 스케일 통일, 결측치 및 잡음 처리주요 기법 : 스케일링(Scaling)을 통해 데이터 범위를 맞추거나, 인코딩(Encodin.. 2025. 10. 24.
[인공지능] 인공지능 신경망의 핵심 : 비선형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 인공 신경망이 복잡한 패턴을 인식하고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의 비밀은 바로 비선형 활성화 함수에 있습니다. 이 함수는 신경망의 각 뉴런(노드)이 최종 출력을 생성하는 중요한 단계에서 사용됩니다. 활성화 함수란 무엇인가요?활성화 함수는 뉴런이 입력 신호를 받아 가중합을 계산한 후, 이 값을 비선형 함수에 적용하여 최종 출력을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 활성화 함수가 선형 함수라면, 아무리 층을 깊게 쌓아도 전체 신경망은 결국 하나의 선형 변환과 같아져 복잡한 비선형 문제(ex: 이미지 인식, 자연어 처리 등)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선형 함수 : 전체 구간에서 기울기가 일정한 직선비선형 함수 : 전체 구간에서 기울기가 일정하지 않은 함수. 신경망이 복잡한 패턴 인식을 가능하게 하며, 학습 능력과 예측 .. 2025. 10. 23.
[데이터 시각화] HOG란 무엇인가? 객체 검출의 고전적인 역작, HOG 완전 분석 컴퓨터 비전 분야의 딥러닝 시대가 도래하기 전,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HOG, 기울기 방향 히스토그램)는 객체 검출(Object Detection) 영역에서 가장 강력하고 혁신적인 특징 서술자(Feature Descriptor) 중 하나였습니다. 특히 사람 검출(Pedestrian Detection) 분야에 혁명을 가져왔던 HOG 원리와 작동 방식을 자세히 알아봅시다. HOG 기반 : 이미지 기울기 벡터(Gradient Vector)HOG가 작동하는 원리는 매우 직관적입니다. 객체의 모양(Shape)은 주로 윤곽선(Edge)에 의해 결정되며, 윤곽선은 픽셀 밝기가 급격하게 변하는 곳에서 발생합니다. 이미지 픽셀 위치 $f(x,y)$에 따른 밝기 값으로 이루어진 함수로 .. 2025. 10. 7.
[데이터 시각화] 픽셀을 조각하다: 대비, 휘도, 노이즈 필터링으로 이미지 마스터하기 2025.10.01 - [AI/데이터 시각화] - [데이터 시각화] 픽셀을 해부하다: 파이썬으로 배우는 이미지의 다차원 구조 (Part 1) 이전에 이미지를 NumPy 배열로 다루고 기본적인 슬라이싱을 통해 채널을 분리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번에는 더 흥미로운 이미지 처리 기법인 밝기/대비 조절과 노이즈 필터링을 구현해 보겠습니다.1. 밝기 조절 : 클리핑이 핵심픽셀 밝기는 RGB 구성요소 값에 비례합니다. (0 : 빛 없음, 255 : 최대 밝기) 밝기를 조절할 때는 값이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해야합니다.예를 들어 G = 200 인 픽셀의 밝기를 두 배로 늘리면 G = 400이 되는데, 최대값인 255를 초과하므로 이 값을 255로 클리핑(Clipping) 해야합니다. # NumPy의 cli.. 2025. 10.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