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AI/데이터 시각화3

[데이터 시각화] HOG란 무엇인가? 객체 검출의 고전적인 역작, HOG 완전 분석 컴퓨터 비전 분야의 딥러닝 시대가 도래하기 전,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HOG, 기울기 방향 히스토그램)는 객체 검출(Object Detection) 영역에서 가장 강력하고 혁신적인 특징 서술자(Feature Descriptor) 중 하나였습니다. 특히 사람 검출(Pedestrian Detection) 분야에 혁명을 가져왔던 HOG 원리와 작동 방식을 자세히 알아봅시다. HOG 기반 : 이미지 기울기 벡터(Gradient Vector)HOG가 작동하는 원리는 매우 직관적입니다. 객체의 모양(Shape)은 주로 윤곽선(Edge)에 의해 결정되며, 윤곽선은 픽셀 밝기가 급격하게 변하는 곳에서 발생합니다. 이미지 픽셀 위치 $f(x,y)$에 따른 밝기 값으로 이루어진 함수로 .. 2025. 10. 7.
[데이터 시각화] 픽셀을 조각하다: 대비, 휘도, 노이즈 필터링으로 이미지 마스터하기 2025.10.01 - [AI/데이터 시각화] - [데이터 시각화] 픽셀을 해부하다: 파이썬으로 배우는 이미지의 다차원 구조 (Part 1) 이전에 이미지를 NumPy 배열로 다루고 기본적인 슬라이싱을 통해 채널을 분리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번에는 더 흥미로운 이미지 처리 기법인 밝기/대비 조절과 노이즈 필터링을 구현해 보겠습니다.1. 밝기 조절 : 클리핑이 핵심픽셀 밝기는 RGB 구성요소 값에 비례합니다. (0 : 빛 없음, 255 : 최대 밝기) 밝기를 조절할 때는 값이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해야합니다.예를 들어 G = 200 인 픽셀의 밝기를 두 배로 늘리면 G = 400이 되는데, 최대값인 255를 초과하므로 이 값을 255로 클리핑(Clipping) 해야합니다. # NumPy의 cli.. 2025. 10. 6.
[데이터 시각화] 픽셀을 해부하다: 파이썬으로 배우는 이미지의 다차원 구조 (Part 1) 개요데이터 과학자나 개발자에게 이미지는 단순히 보는 것을 넘어 분석하고 조작해야 할 다차원 데이터 구조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간단한 Python 라이브러리인 NumPy와 Matplotlib을 이용해 이미지를 데이터 관점에서 해부하고 기본적인 조작을 해보겠습니다. 1. 이미지 NumPy 배열로 바꾸기우리는 Jupyter Notebook 환경에서 작업을 시작합니다. 이미지를 데이터로 다루기 위한 필수 라이브러리들을 볼러옵니다.아래 간단한 코드를 통해 JPG 파일이 메모리에서 NumPy 배열(행렬)로 변환됩니다.import numpy as np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import matplotlib.image as Image# 이미지를 불러와 NumPy 배열로 변환img = Im.. 2025. 10.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