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df3

리눅스 du 명령어와 df 명령어 설명 리눅스에서 du와 df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 사용량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du(Disk Usage)기능 : 특정 디렉터리 및 파일의 디스크 사용량을 보여줍니다사용법 : du [옵션][경로]주요 옵션-h :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s : 요약 정보만 출력-a :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의 사용량 출력EX# du -sh *1.9M 1020K 118.0K 1218M 13580K 1448K 28.0K 324K 416K 524K 632K 78.0K 840M 94.0K README.md# du -sh fastcampus/102M fastcampus/df(Disk Free)기능 : 파일 시스템의 전체 및 사용 가능.. 2024. 6. 18.
Mount 개요 리눅스에서 mount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거나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사용자가 새로운 저장 장치를 시스템에 추가할 때, 이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mount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 옵션, 그리고 일반적인 사용 사례를 다룰 예정입니다. mount 명령어 기본 구조 # mount [옵션] [장치명] [마운트 포인트] !! 장치명 마운트할 저장 장치의 이름입니다. 예를 들어, /dev/sdb1과 같습니다. !! 마운트 포인트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할 디렉토리의 경로입니다. 이 디렉토리는 마운트하기 전에 존재해야 합니다. mount 명령어 주요 옵션 -t [파일시스템 타입]: 마운트할 파일 시스템의 타입.. 2024. 2. 19.
Parted 실습 리눅스 Parted 사용법 1. 디스크 확인 - fdisk -l 명령어를 사용하여 분할할 디스크를 확인합니다. 2. Parted 실행 - parted /dev/sdb 명령어로 fdisk로 확인한 디스크에 접속합니다. 3. 라벨 설정 - mklabel gpt 명령어로 2TB 이상의 디스크일 경우 GPT 라벨을 설정합니다. 4. 파티션 생성 - mkpart 명령을 통해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 파티션 이름을 물어보면 원하는 이름을 지정합니다. - 파일 시스템 타입에는 주로 ext4 또는 xfs를 사용합니다. - 시작 지점을 0G로 설정하여 GiB 단위로 지정합니다. - 종료 지점을 20G로 설정하여 0GiB부터 20GiB까지 파티션을 나눕니다. 5. 파티션 확인 - print 명령어로 파티션이 제대로 나눠졌.. 2024. 2. 1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