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리눅스 Parted 사용법
1. 디스크 확인
- fdisk -l 명령어를 사용하여 분할할 디스크를 확인합니다.
2. Parted 실행
- parted /dev/sdb 명령어로 fdisk로 확인한 디스크에 접속합니다.
3. 라벨 설정
- mklabel gpt 명령어로 2TB 이상의 디스크일 경우 GPT 라벨을 설정합니다.
4. 파티션 생성
- mkpart 명령을 통해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 파티션 이름을 물어보면 원하는 이름을 지정합니다.
- 파일 시스템 타입에는 주로 ext4 또는 xfs를 사용합니다.
- 시작 지점을 0G로 설정하여 GiB 단위로 지정합니다.
- 종료 지점을 20G로 설정하여 0GiB부터 20GiB까지 파티션을 나눕니다.
5. 파티션 확인
- print 명령어로 파티션이 제대로 나눠졌는지 확인합니다.
- 남은 공간 파티셔닝
6. 나머지 30GiB에 대해서도 같은 과정을 수행합니다.
Parted 주요 옵션
(parted) help
align-check TYPE N check partition N for TYPE(min|opt) alignment
help [COMMAND] print general help, or help on COMMAND
mklabel,mktable LABEL-TYPE create a new disklabel (partition table)
mkpart PART-TYPE [FS-TYPE] START END make a partition
name NUMBER NAME name partition NUMBER as NAME
print [devices|free|list,all|NUMBER] display the partition table, available devices, free space, all found partitions, or a particular partition
quit exit program
rescue START END rescue a lost partition near START and END
resizepart NUMBER END resize partition NUMBER
rm NUMBER delete partition NUMBER
select DEVICE choose the device to edit
disk_set FLAG STATE change the FLAG on selected device
disk_toggle [FLAG] toggle the state of FLAG on selected device
set NUMBER FLAG STATE change the FLAG on partition NUMBER
toggle [NUMBER [FLAG]] toggle the state of FLAG on partition NUMBER
unit UNIT set the default unit to UNIT
version
!! 다양한 옵션들이 있지만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옵션들 위주로 정리하겠습니다.
align-check : 파티션의 정렬 상태를 검사합니다.
cp : 한 파티션의 데이터를 다른 파티션으로 복사합니다.
move : 파티션의 위치를 이동합니다.
help : 사용 가능한 명령어와 옵션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합니다.
mkfs : 지정된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mkpartfs : 파티션을 생성하고 파일 시스템을 초기화합니다.
resize : 파티션의 크기를 조정합니다.
rm : 파티션을 삭제합니다.
select : 작업할 디스크를 선택합니다.
set : 파티션 플래그를 설정합니다.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의 파일 압축과 아카이브 관리 (0) | 2024.02.17 |
---|---|
NetworkManager (0) | 2024.02.16 |
grep (0) | 2024.02.15 |
SU vs SU - (0) | 2024.02.15 |
계정관리(사용자 추가 옵션)(1) (0) | 2024.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