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Python28 [인공지능] 잔차 신경망(ResNet)으로 기울기 소실 문제 해결 개요잔차 신경망(ResNet, Residual Network)은 2015년 Microsoft Research 팀에 의해 소개된 혁신적인 딥러닝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네트워크의 층이 깊어질수록 오히려 성능이 저하되는 성능 저하(Degradation) 문제와 기울기 소실(Vanishing Gradient)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ResNet은 잔차 학습(Residual Learning)이라는 단순하지만 강력한 아이디어를 통해, 150층 이상의 깊은 신경망에서도 안정적으로 학습하고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여 현재까지도 컴퓨터 비전 분야의 핵심 기술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깊이의 한계를 뛰어넘는 잔차 학습ResNet의 핵심은 Residual Learning입니다. 기존 신경망이 입력 $x$에 대해 원.. 2025. 10. 30. [인공지능] 인공지능 신경망의 핵심 : 비선형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 인공 신경망이 복잡한 패턴을 인식하고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의 비밀은 바로 비선형 활성화 함수에 있습니다. 이 함수는 신경망의 각 뉴런(노드)이 최종 출력을 생성하는 중요한 단계에서 사용됩니다. 활성화 함수란 무엇인가요?활성화 함수는 뉴런이 입력 신호를 받아 가중합을 계산한 후, 이 값을 비선형 함수에 적용하여 최종 출력을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 활성화 함수가 선형 함수라면, 아무리 층을 깊게 쌓아도 전체 신경망은 결국 하나의 선형 변환과 같아져 복잡한 비선형 문제(ex: 이미지 인식, 자연어 처리 등)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선형 함수 : 전체 구간에서 기울기가 일정한 직선비선형 함수 : 전체 구간에서 기울기가 일정하지 않은 함수. 신경망이 복잡한 패턴 인식을 가능하게 하며, 학습 능력과 예측 .. 2025. 10. 23. [Python] 동시성(Concurrency)과 병렬성(Parallelism) 개요프로그래밍에서 동시성(Concurrency)과 병렬성(Parrallelism)은 시스템의 효율성과 성능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두 용어는 종종 혼용되지만, 실제로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주제 개념 및 용어 정리구분동시성(Concurrency)병렬성(Parallelism)실제 단어 뜻동시 + 성 : 여러 일이 함께 진행될 수 있는 성질병렬 + 성 : 여러 일이 실제로 나란히 수행되는 성질IT 용어 개념단일 코어에서도 여러 작업을 동시에 진행되는 것처럼 보이게 처리하는 논리적인 기술(시간을 짧게 쪼개 번갈아 가며 작업)멀티 코어 환경에서 여러 작업을 진짜로 동시에 실행하는 물리적 기술(하드웨어적 다중 처리)핵심관리(Dealing) :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방법을 구조화하고 관리하는.. 2025. 10. 12. [Python(AI)] Python 개발자를 위한 GPU 가속 : nvmath-python과 cuda.core 파이썬은 AI, 데이터 과학 분야에서 독보적인 언어지만, 복잡한 수치 연산을 빠르게 처리하는 데는 GPU(그래픽 처리 장치)의 도움이 필수적입니다. 과거에는 GPU를 활용하려면 C/C++ 바인딩이라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했지만, 이제 NVIDIA가 직접 제공하는 두 가지 강력한 라이브러리 nvmath-python 과 cuda.core 덕분에 파이썬으로도 GPU의 성능을 100%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개요 : 두 라이브러리의 역할 분담NVIDIA는 CUDA Python 이라는 메타 패키지를 통해 파이썬에서 CUDA 플랫폼에 접근할 수 있는 여러 컴포넌트를 제공합니다. nvmath-python 과 cuda-core는 이 중 핵심 역할을 담당합니다.nvmath-python : 고도로 최적화된 수학 함.. 2025. 10. 10. [데이터 시각화] 픽셀을 조각하다: 대비, 휘도, 노이즈 필터링으로 이미지 마스터하기 2025.10.01 - [AI/데이터 시각화] - [데이터 시각화] 픽셀을 해부하다: 파이썬으로 배우는 이미지의 다차원 구조 (Part 1) 이전에 이미지를 NumPy 배열로 다루고 기본적인 슬라이싱을 통해 채널을 분리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번에는 더 흥미로운 이미지 처리 기법인 밝기/대비 조절과 노이즈 필터링을 구현해 보겠습니다.1. 밝기 조절 : 클리핑이 핵심픽셀 밝기는 RGB 구성요소 값에 비례합니다. (0 : 빛 없음, 255 : 최대 밝기) 밝기를 조절할 때는 값이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해야합니다.예를 들어 G = 200 인 픽셀의 밝기를 두 배로 늘리면 G = 400이 되는데, 최대값인 255를 초과하므로 이 값을 255로 클리핑(Clipping) 해야합니다. # NumPy의 cli.. 2025. 10. 6. [데이터 시각화] 픽셀을 해부하다: 파이썬으로 배우는 이미지의 다차원 구조 (Part 1) 개요데이터 과학자나 개발자에게 이미지는 단순히 보는 것을 넘어 분석하고 조작해야 할 다차원 데이터 구조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간단한 Python 라이브러리인 NumPy와 Matplotlib을 이용해 이미지를 데이터 관점에서 해부하고 기본적인 조작을 해보겠습니다. 1. 이미지 NumPy 배열로 바꾸기우리는 Jupyter Notebook 환경에서 작업을 시작합니다. 이미지를 데이터로 다루기 위한 필수 라이브러리들을 볼러옵니다.아래 간단한 코드를 통해 JPG 파일이 메모리에서 NumPy 배열(행렬)로 변환됩니다.import numpy as np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import matplotlib.image as Image# 이미지를 불러와 NumPy 배열로 변환img = Im.. 2025. 10. 5.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