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파티션5

[Linux] 리눅스에서 기존 디렉터리를 새 파티션에 마운트하는 방법(데이터 유지) 개요리눅스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기존 디렉터리의 용량이 부족해 새 파티션을 추가하고 싶을 때가 있다. 특히 기존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고 새 파티션에 마운트하는 방법은 서버 관리에서 자주 사용된다. 1. 새 파티션 생성 및 포맷데이터가 없는 파티션에서만 실행해야됨mkfs.ext4 /dev/sda4 2. 기존 데이터 백업2.1 임시 마운트 포인트 생성mkdir /mnt/sda4 2.2 /dev/sda4 임시 마운트mount /dev/sda4 /mnt/sda4 2.3 데이터 복사rsync 명령어로 기존의 권한과 소유권을 유지하면서 복사rsync -avh /APP/ /mnt/sda4/ 3. 기존 /APP 디렉터리 준비3.1 기존 디렉터리 이름 변경mv /APP /APP_backup 3.2 새 /APP 디렉터리 .. 2024. 12. 17.
Partiton 개요리눅스 파티션 관리는 시스템의 효율적인 저장 공간 분배와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관리 작업은 데이터 조직화, 시스템의 보안 강화, 및 성능 최적화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문에서는 리눅스에서 파티션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 개념과 도구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파티션이란?파티션은 하드 드라이브의 물리적 구분 없이 저장 공간을 독립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각 파티션은 별도의 파일 시스템을 가지며, 운영 체제는 각각을 독립적인 드라이브로 취급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구분하고, 시스템의 보안과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fdiskfdisk는 리눅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디스크 파티셔닝 도구 중 하나입니다. 이 명령어는 MBR(Master Boot Re.. 2024. 2. 15.
Parted 실습 리눅스 Parted 사용법 1. 디스크 확인 - fdisk -l 명령어를 사용하여 분할할 디스크를 확인합니다. 2. Parted 실행 - parted /dev/sdb 명령어로 fdisk로 확인한 디스크에 접속합니다. 3. 라벨 설정 - mklabel gpt 명령어로 2TB 이상의 디스크일 경우 GPT 라벨을 설정합니다. 4. 파티션 생성 - mkpart 명령을 통해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 파티션 이름을 물어보면 원하는 이름을 지정합니다. - 파일 시스템 타입에는 주로 ext4 또는 xfs를 사용합니다. - 시작 지점을 0G로 설정하여 GiB 단위로 지정합니다. - 종료 지점을 20G로 설정하여 0GiB부터 20GiB까지 파티션을 나눕니다. 5. 파티션 확인 - print 명령어로 파티션이 제대로 나눠졌.. 2024. 2. 15.
Kickstart File 분석 개요 redhat 공식 문서를 토대로 정리하였다. 32.4. 킥스타트 옵션 Red Hat Enterprise Linux 6 | Red Hat Customer Portal 32.4. 킥스타트 옵션 Red Hat Enterprise Linux 6 | Red Hat Customer Portal Access Red Hat’s knowledge, guidance, and support through your subscription. access.redhat.com auth 또는 authconfig (필수 사항) auth --enableshadow --passalgo=sha512 # 시스템을 위한 인증 옵션을 선택 auth -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인증 정보와 관련된 설정을 처리하는 도구로 이해된다. authconf.. 2024. 1. 22.
Auto Mount 1. 개요 파티션을 마운트 한 후 시스템이 재부팅 될 경우 마운트가 해제된다 부팅과 동시에 자동으로 마운트를 적용해 주는 기능을 말한다 2. 방법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하드 디스크 추가 후(IDE) mount /dev/sr0 /mnt mkdir /sdb fdisk /dev/sdb Enter 계속하고 w로 저장하고 나오기(하드 디스크 파티션 자동 설정) mkfs.ext4 /dev/sdb1 vi /etc/fstab /dev/sdb1 /sdb1 ext4 defaults 1 2 추가 후 mount /dev/sdb1 /sdb 아래는 /etc/fstab 파일 수정 예시이다. 자세한 실습 과정은 아래 블로그 링크에 있습니다. https://velog.io/@yoondonggyu/Auto-Mount 2023. 12. 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