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SH 키 생성
먼저 GitHub와 연결할 SSH 키를 생성합니다.
- ~/.ssh/id_ed25519 (비공개 키)
- ~/.ssh/id_ed25519.pub (공개 키)
ssh-keygen -t ed25519 -C "your_email@example.com"
SSH 키 GitHub에 등록
- GitHub 접속 → 오른쪽 상단 프로필 아이콘 클릭
- Settings → SSH and GPG Keys → New SSH Key
- 아래 명령어로 복사한 공개키를 붙여넣기
cat ~/.ssh/id_ed25519.pub
- Add SSH key 클릭 완료!
SSH 연결 테스트
ssh 연결이 잘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ssh -T git@github.com
정상 연결 시 다음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
Hi estar! You've successfully authenticated, but GitHub does not provide shell access.
GitHub 원격 저장소 추가
cd ~/DevOps/gittest
git init
git remote add origin git@github.com:estar987/gittesst-macmini.git
원격이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
git remote -v
브랜치 및 커밋 작업
테스트 파일 생성하기
ls
board.txt comment.txt
cat board.txt
123
cat comment.txt
123
메인 브랜체를 설정하고, 파일을 추가한 후 커밋합니다.
git branch -M main
git add . // 한번에 하면 실수할 수 있기 때문에 아래처럼 변화가 있는 파일만 수행
git add board.txt
git add comment.txt
git commit -m "[feat] main에서 board, comment 추가"
커밋 확인
git log --oneline -5
원격 저장소로 푸시
로컬의 main 브랜치를 GitHub로 올리기
git push -u origin main
feature 브랜치 생성 및 푸시
기능 개발용 브랜치를 만들고 작업 후 원격에도 업로드
git switch -c feature
작업 후 커밋
git add . # 전체를 다 넣는건 위험요소가 있기 때문에 변경한 파일만 하는 걸 추천
git add board.txt
git commit -m "[feat] feature 브랜치 테스트"
원격으로 푸시
git push -u origin feature
github 확인

반응형
'DevOps > CICD'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evOps] Jenkins , GitLab 연동(CI 생성)(3) (0) | 2024.12.18 |
|---|---|
| [DevOps] Jenkins , GitLab 연동(CI 생성)(2) (0) | 2024.12.18 |
| [DevOps] Jenkins , GitLab 연동(CI 생성)(1) (0) | 2024.12.18 |
| [Jenkins, GitLab] Jenkins , GitLab Pipe line 구축(연동 시) 발생하는 ERR - Web Hook 등록 안됨 (0) | 2024.12.18 |
| [DevOps] Harbor 구성 후 삭제하기 (0) | 2024.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