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환경 변수란?
프로세스가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인 값들의 모임
OS 입장에서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기 위해 참조하는 변수
Path 변수는 운영체제가 어떤 프로세스를 실행 시킬 때, 그 경로를 찾는데 이용된다.
PATH → /APP/enhpc/mpi/openmpi-4.1.6-gnu/bin:${PATH}
리눅스에서는 이와 같이 경로를 입력해준다.
윈도우 에서는 자바 초기 설정할 때 Path 설정을 생각하면 된다.
환경 변수 읽는 순서(export)
~~/etc/rc.d/rc.sysinit > /etc/rc.d/rcN.d (N은 0~6 사이)~~ > /etc/rc.d/rc.local > /etc/profile > /etc/profile.d/* > /etc/bashrc > /etc/inputrc > $HOME/.bash_profile > $HOME/.bashrc > $HOME/.inputrc
전체 적용 환경 변수
전체 적용 환경 변수는 /etc 디렉토리 밑에 있다. 환경 변수의 경우 숨겨진 파일(히든 파일)로 되어 있다. 보통 이름 앞에 (.)이 붙어 있다. 숨겨진 파일을 조회하는 방법은 ls -al 옵션을 붙여하한다.
/etc/profile
일반적으로 전체 path 등 정보가 있다. 시스템 전역에 걸친 환경을 정의
user 접속하면 profile 파일 시작과 함께 /etc/profile.d 하위에 존재하는 shell들이 함께 실행된다.
/etc/profile.d/*.sh 또는 *.csh
시스템 부팅과 동시에 로딩되는 shell들이 존재
사용자 전체가 공통으로 할당받는 환경
/etc/bashrc
전체 쉘 실행 시에 필요한 정보가 있다.
시스템 전반에 걸친 함수와 alias /etc/profile을 그대로 참조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하위 개념
사용자 적용 환경 변수
각 user의 홈 디렉터리에 존재한다.
~/.bash_profile
사용자의 path 정보 등이 존재
사용자 환경에 맞게 로그인 이후에 로딩되어 할당받는 변수들이 정의
~/.bashrc
shell 실행시 필요한 정보들이 존재
사용자 홈 디렉터리에 위치한 .bashrc는 로그인하거나 현재 터미널에서 다시 .bashrc를 로딩하면 즉각 환경이 반영
env
명령어를 사용하면 적용된 환경 변수를 확인할 수 있다.
접속한 세션에서만 적용
특정 사용자 세션에 대해 로컬로 환경변수를 설정할 수도 있다.
# export MY_PATH="/etc/myhome"
export 명령은 일반적으로 셸 환경에서 변수를 설정하는 데 사용됨
# echo $MY_PATH
환경 변수 설정 확인은 echo 명령어에 $를 붙여서 알 수 있다.
환경 변수 명령어
환경 변수 조회
전역 환경 변수 조회
# export
# env
# printenv
환경 변수 계층 구조
전역 환경 변수 조회
# export
# env
# printenv
환경 변수 설정 명령어
용도에 맞는 범위에 해당하는 환경 변수 파일 마지막 부분에 export 명령어를 통하여 환경변수를
작성해준다.
EX) export JAVA_HOME=/usr/local/.../jdk
환경 변수 해제
unset [환경변수 명]
참고
환경 변수는 계정별로 다 따로 따로 설정해야하는데 그것을 한번에 처리해 주는 것이 NIC 이다.
'D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og] 블로그 꾸미기 맥 터미널 (0) | 2025.01.15 |
---|---|
HAProxy VS NginX (0) | 2024.05.04 |
파이썬 VS 자바 (0) | 2024.02.17 |
장고 vs 플라스크 (0) | 2024.02.17 |
라이브러리(Library) (0) | 2024.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