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mount5 [Kubernetes] Kubernetes NFS PV/PVC 마운트 실패 해결 과정 🛠️ 문제 발생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NFS를 활용한 Persistent Volume (PV) 및 Persistent Volume Claim (PVC) 설정 후, Pod가 NFS를 정상적으로 마운트하지 못하고 ContainerCreating 상태에서 멈추는 문제가 발생했다. 📌 증상# kubectl get pods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nfs-test-pod 0/1 ContainerCreating 0 14m 📌 상세 로그 확인 (kubectl describe pod nfs-test-pod)# kubectl describe pod nfs-test-podEvents: Type Reaso.. 2025. 3. 5. [Hardware] 실제 서버 마운트 풀 때 유의사항(참고)(lsof) 개요하드웨어를 umount 할 때 umount: /mnt: target is busy. 이러한 메시지를 본 경험이 많을 것이다. 근데 터미널에서 모두 사용중이지 않을 것을 확인하였는데도 계속 이 메세지가 출력된다면 아래 방법을 시도해보는 것을 권장한다.제대로 마운트를 풀지 않고 물리적으로 연결을 끊으면 파일이 깨지거나 다양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에 주의해야한다.현재 상태# dfdf: /run/user/0/gvfs: Transport endpoint is not connecteddf: /run/user/0/gvfs: Transport endpoint is not connected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devtmpfs .. 2024. 10. 8. Mount 개요 리눅스에서 mount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거나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사용자가 새로운 저장 장치를 시스템에 추가할 때, 이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mount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 옵션, 그리고 일반적인 사용 사례를 다룰 예정입니다. mount 명령어 기본 구조 # mount [옵션] [장치명] [마운트 포인트] !! 장치명 마운트할 저장 장치의 이름입니다. 예를 들어, /dev/sdb1과 같습니다. !! 마운트 포인트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할 디렉토리의 경로입니다. 이 디렉토리는 마운트하기 전에 존재해야 합니다. mount 명령어 주요 옵션 -t [파일시스템 타입]: 마운트할 파일 시스템의 타입.. 2024. 2. 19. 응급 복구 부팅되기 전 vmware에서 재부팅 실시 (명령어 : Ctrl + Alt + Insert 키) 재부팅 후 e로 커널 모드 진입 # systemctl get-default # systemctl set-default graphical.target # systemctl get-default # exec /sbin/init 2023. 12. 5. Auto Mount 1. 개요 파티션을 마운트 한 후 시스템이 재부팅 될 경우 마운트가 해제된다 부팅과 동시에 자동으로 마운트를 적용해 주는 기능을 말한다 2. 방법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하드 디스크 추가 후(IDE) mount /dev/sr0 /mnt mkdir /sdb fdisk /dev/sdb Enter 계속하고 w로 저장하고 나오기(하드 디스크 파티션 자동 설정) mkfs.ext4 /dev/sdb1 vi /etc/fstab /dev/sdb1 /sdb1 ext4 defaults 1 2 추가 후 mount /dev/sdb1 /sdb 아래는 /etc/fstab 파일 수정 예시이다. 자세한 실습 과정은 아래 블로그 링크에 있습니다. https://velog.io/@yoondonggyu/Auto-Mount 2023. 12. 4.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