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Root4 리눅스 우분투 설치 후 기본 설정 패키지 설치 $ sudo apt -y update $ sudo passwd root $ su - # apt -y install openssh-server vim net-tools ssh 설정 root 계정으로 ssh 접속하기 위한 설정 # vi /etc/ssh/sshd_config 34 PermitRootLogin yes // yes로 변경 58 PasswordAuthentication yes // 주석해제 # systemctl restart sshd 2024. 4. 1. SU vs SU - 개요 리눅스에서 사용자 권한 관리 및 전환을 위한 명령어로 su, su -, 그리고 sudo가 자주 사용됩니다. 이들 명령어는 시스템 관리자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권한으로 명령을 실행할 필요가 있을 때 중요합니다. 1. su(Substitute User) su 명령어는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를 다른 사용자로 전환할 때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 뒤에 전환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그 사용자의 권한으로 쉘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su username 만약 username을 생략하고 su만 입력하면, 기본적으로 root 사용자로 전환을 시도합니다. 이 명령어는 현재 사용자의 환경설정을 그대로 유지하며 사용자만 전환합니다. 2. su -(Substitute U.. 2024. 2. 15. 계정 관리하기 (2) 계정 확인 명령어 계정 확인(id / users / who) 현재 사용자의 UID, GID, 그룹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 # id [root@estar987 ~]# id uid=0(root) gid=0(root) groups=0(root) [root@estar987 ~]# [root@estar987 ~]# su estar987 [estar987@estar987 root]$ [estar987@estar987 root]$ id uid=1000(estar987) gid=1000(estar987) groups=1000(estar987) [estar987@estar987 root]$ UID / GID UID(User ID) : 사용자 식별 번호 - 슈퍼유저의 UID = 0 - /etc/passwd 에서 확인 가능.. 2024. 2. 13. 계정 관리하기(1) 사용자 분류 리눅스에서는 사용자를 root(관리자)와 일반 사용자로 구분 각 계정은 UID(User Identif)로 관리한다. 루트 계정 : 모든 권한을 가진 특별한 사용자 시스템 계정 : 리눅스 설치 시 기본으로 생성되는 계정 사용자 계정 : 실제 리눅스 사용자를 위한 계정 Root root(Super User) 계정은 UID 값이 0으로 지정된 관리자 계정이다.여기서는 다른 계정을 생성하거나 권한을 부여하고 비밀번호를 바꿀 수 있다. 즉 모든 권한을 가진 계정이다. 만약 다른계정에 UID값을 0으로 변경한다면 관리자와 마찬가지로 모든 권한을 가질 수 있다. -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는 **관리자 권한의 계정이자 슈퍼 유저** - 리눅스 파일 체제의 최상위 디렉터리(/)로도 표현한다. 일반 사용자 일.. 2024. 2. 13.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