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Boot3

RunLevel 개요 리눅스 실행레벨(RunLevel)은 유닉스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시스템 관리를 용이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되었다. RunLevel 은 0 ~ 6 번까지 존재한다. 아래에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2024. 2. 14.
MBR(BIOS) & GPT(UEFI) 개요 디스크 드라이브를 사용하기 전에, 파티션 작업을 해야한다. 드라이브에 파티션 데이터를 저장하는 두 가지 다른 방법은 MBR(마스터 부팅기록) 과 GPT(GUID 파티션 테이블)이다. MBR 컴퓨팅의 첫 시작부터 마스터 부팅 기록(MBR) 이라고 불리는 파티션 방법이 존재했다. 32비트 파티션 테이블 MBR 파티션은 드라이브의 시작에서 사용됐다. 드라이브의 각 파티션의 위치, 사이즈, 종류는 이 파티션 테이블에 목록화된다. 각각의 주용 MBR 파티션은 운영 체제를 포함하거나 주요 혹은 확장된 형태로 존재한다. * 오래된 디스크 유형 GPT 최근에 생긴 파티션 방법은 GUID 파티션 테이블(GPT)라고 불리고 MBR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64 비트 파티션 테이블은 드라이브의 시작과 끝에서 GPT.. 2024. 2. 13.
PXE 설치(FTP 방식) 1. DHCP 서버 설치 yum -y install dhcp-server 혹은 dnf install dhcp-server # vi /etc/dhcp/dhcp.conf # # DHCP Server Configuration file. # see /usr/share/doc/dhcp-server/dhcpd.conf.example # see dhcpd.conf(5) man page # dhcp_interface="ens34"; subnet 192.168.203.0 netmask 255.255.255.0 { option routers 192.168.203.1; option subnet-mask 255.255.255.0; range dynamic-bootp 192.168.203.33 192.168.203.38; de.. 2023. 12. 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