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프로젝트4

프로젝트 경험 기술 주식 추천 시스템(2023 SW 중심대학 공동 해커톤) 2023년 6월, 저는 천안에서 개최된 '2023 SW 중심 대학 공동 해커톤'에 참여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 경험은 주식과 MBTI(성격 유형 분석)의 관계를 주제로 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성공적으로 완료한 결과물입니다. 제가 조장으로 참여하여 6명의 팀원을 모아 효율적인 협력을 통해 프로젝트를 이끌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개인의 성격(MBTI)과 주식 투자성향(ZBTI)을 연계하여 맞춤 주식 상품 추천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ZBTI는 우리 조가 고유하게 개발한 주식 투자성향 분석 지표로, CAVB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주식 상품 정보와 사용자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 추천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웹 서버는 플라스크 서버와 .. 2023. 11. 28.
포트폴리오 및 기술 명세서 작성 1. 개요 앞의 자소서 작성 포스트와 이어져 겹치는 부분이 많을 것 같은데 굳이 빼서 다시 한 번 언급할만큼 중요한 것이 포트폴리오와 기술 명세서 인 것같다. 엔지니어를 평가하는 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직무 이해도이기 때문에 가장 공을 들여야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2. 프로젝트별 설명 나는 개인적으로 공부한 것들, 학원에서 진행한 프로젝트, 해커톤, 캡스톤을 프로젝트 경험으로 나열하였다. 소제목으로 프로젝트의 주제를 쓰고 몇명이서 진행했는지, 어떤 식으로 진행했는지, 나의 역할이 뭐였는지 간단히 설명 후 그 프로젝트를 통해서 얻은 것을 기술하였다. 단순 자소서 항목을 작성하는 것일 수 있지만, 내가 여태 공부한 것들을 다시 한 번 정리하는 계기가 될 수 있고, 또한 다음 설명할 경력 기술서.. 2023. 11. 28.
프로젝트 경험 1. 토이 프로젝트 국비지원 교육에서 처음으로 다른 사람들과 협업하는 것을 경험하였다. 아무리 개발자, 엔지니어들이 컴퓨터랑만 대화한다고는 하지만, 모든 업무는 같이 업무를 진행하는 팀원들과도 대화를 해야되고, 더 나아가서는 다른 부서의 사람들과 고객과 대화를 하면서 목표를 달성해나가야한다. 처음엔 배운 걸 바로 따라하는 실습에서 시작하였지만 다른 사람들과 같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해 나갈지, 또 서로 부족한 점을 서로 알려주면 같이 성장할 수 있는 계기인 것 같다. 그래서 공부를 할 때 되도록이면 같은 커리큘럼으로 공부하는 사람을 구해서 같이 다양한 경험을 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러한 협엽 경험은 면접에서도 추가 점수가 될 수 있다. 면접을 보면서 느낌 점인데 흔히 말하는 요즘 MZ 세대들은 코로나를 겪.. 2023. 11. 28.
면접 리뷰 개요 개발이 적성에 안 맞던 나는 다른 직군을 찾다가 시스템, 클라우드 엔지니어를 접하게 되었다. 학교에서는 시스템 파트를 배우질 않아서 따로 학원을 다니고 인강도 듣고 혼자 공부를 해서 취업을 성공하였다. 여러 기업들에서 어떻게 자소서와 면접을 어떻게 준비했고 어떤 결과였는지 리뷰해보려고 한다. 공부는 각자가 맞는 방법이 있어서 뭐가 좋다고 말은 못하겠지만 확실히 제일 도움이 되는 건 혼자서 책과 인강을 하는 것보단 팀원들을 구해서 세미 프로젝트라도 경험을 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프로젝트를 하면 본인이 몰랐던 것도 새로 알게 되고, 팀원들과 다양한 갈등들을 해결해 나가면서 협업과 소통을 배우며 기술적으로 가장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것 같다. 또한 프로젝트나 공부를 하면서 겪은 오류들을 항상 기록.. 2023. 11. 2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