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사용자8

[Linux]리눅스 사용자 환경설정 자동화: /etc/profile.d vs /etc/skel 차이와 활용법 개요HPC나 컴파일러 환경에서 특정 환경변수나 초기 설정을 사용자마다 반복 입력하지 않고 자동화하려면, 두 가지 방법을 주로 활용합니다✅ 시스템 전체 사용자에게 공통 적용: /etc/profile.d✅ 신규 사용자에게만 초기값으로 설정: /etc/skel이 글에서는 각각의 차이와 활용법, 그리고 Intel oneAPI와 같은 환경 설정을 예시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etc/profile.d - 시스템 전역 설정/etc/profile.d는 시스템 전체 사용자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쉘 환경 설정 스크립트를 저장하는 디렉터리입니다./etc/profile이 실행될 때 내부에서 이 디렉터리의 .sh 파일들을 실행합니다.💡 적용 대상로그인 시 모든 사용자(ex ssh, su -)🧩 예시: Intel oneA.. 2025. 5. 13.
[Kubernetes] 로드밸런싱을 위해 Control-plane 증설 이후 작업 개요이전에 포스팅한 글을 참고해서 이이서 작업하시면 됩니다.2025.01.11 - [DevOps] - [kubernetes]로드밸런싱을 위한 control-plane 증설 [kubernetes]로드밸런싱을 위한 control-plane 증설개요아래와 같은 환경에서 현재 로드 밸런싱을 위하여 control-plane 2대를 증설하려고 한다. # k get noNAME STATUS ROLES AGE VERSIONkubemaster210 Ready control-plane 61d v1.28.15kubenode211 NotReady 61d v1.28.15kubenode212 Readywww.estar987.com 문제 현상# kubectl get noE0125 13:18:53.798190 3074180 memc.. 2025. 2. 3.
[계정 관리] 서버 간 계정 동기화하기 개요현재 하고 있는 업무가 HPC 솔루션이다보니 서버간의 계정 동기화에 예민한 편이다. 서버 증설을 할 때 계정정보가 동일해야 작업이 수행되기 때문에 증설 후 꼭 계정 정보를 동기화해줘야한다. 실습관련 파일은 아래와 같다.# cat /etc/passwd# cat /etc/shadow# cat /etc/group# cat /etc/gshadow 아래처럼 파일을 복사해준 후 기존에 있던 서버와 계정 정보를 수정한 서버 간 계정이 동일하게 있는지 확인한다.# cp /etc/shadow root@192.168.207.10:/etc/shadow# cp /etc/passwd root@192.168.207.10:/etc/passwd# cp /etc/group root@192.168.207.10:/etc/group# .. 2025. 1. 16.
SU vs SU - 개요 리눅스에서 사용자 권한 관리 및 전환을 위한 명령어로 su, su -, 그리고 sudo가 자주 사용됩니다. 이들 명령어는 시스템 관리자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권한으로 명령을 실행할 필요가 있을 때 중요합니다. 1. su(Substitute User) su 명령어는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를 다른 사용자로 전환할 때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 뒤에 전환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그 사용자의 권한으로 쉘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su username 만약 username을 생략하고 su만 입력하면, 기본적으로 root 사용자로 전환을 시도합니다. 이 명령어는 현재 사용자의 환경설정을 그대로 유지하며 사용자만 전환합니다. 2. su -(Substitute U.. 2024. 2. 15.
계정관리(사용자 추가 옵션)(1) 사용자 추가 옵션 [root@estar987_LocalPC home]# useradd Usage: useradd [options] LOGIN useradd -D useradd -D [options] Options: -b, --base-dir BASE_DIR base directory for the home directory of the new account -c, --comment COMMENT GECOS field of the new account **-d, --home-dir HOME_DIR home directory of the new account** **-D, --defaults print or change default useradd configuration** -e, --expiredate .. 2024. 2. 13.
계정 관리하기 (3) 사용자 계정 관리 계정 추가 명령어 사용자 추가(useradd / adduser) CentOS / RockyLinux 에서는 useradd 와 adduser 명령어의 차이가 없다. Ubuntu에서는 두 명령어의 차이가 존재해서 다음에 알아보도록 하겠다. [root@estar987_LocalPC ~]# useradd testuser [root@estar987_LocalPC ~]# [root@estar987_LocalPC ~]# cat /etc/passwd | grep 10 games:x:12:100:games:/usr/games:/sbin/nologin qemu:x:107:107:qemu user:/:/sbin/nologin estar987:x:1000:1000:estar987:/home/estar987:.. 2024. 2. 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