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개요
설치 과정은 공식 문서에 자세히 나와 있으니 본인의 환경에 맞게 설치하면 된다.
kubectl 설치 메뉴얼
https://docs.aws.amazon.com/ko_kr/eks/latest/userguide/install-kubectl.html
kubectl 및 eksctl 설정 - Amazon EKS
Amazon EKS 클러스터 제어 영역과 마이너 버전이 하나 다른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30 kubectl 클라이언트는 Kubernetes 1.29, 1.30, 1.31 클러스터와 함께 작동합니다.
docs.aws.amazon.com
eksctl 설치 메뉴얼
https://eksctl.io/installation/
Installation - eksctl
The official CLI for Amazon EKS
eksctl.io
kubectl 설치(v1.30)
$curl -O https://s3.us-west-2.amazonaws.com/amazon-eks/1.30.2/2024-07-12/bin/linux/amd64/kubectl
$chmod +x ./kubectl
$mkdir -p $HOME/bin && cp ./kubectl $HOME/bin/kubectl && export PATH=$HOME/bin:$PATH
$echo 'export PATH=$PATH:$HOME/bin' >> ~/.bashrc
$kubectl version --client
Client Version: v1.30.2-eks-1552ad0
Kustomize Version: v5.0.4-0.20230601165947-6ce0bf390ce3
eksctl 설치(v0.202.0)
$ARCH=amd64
$PLATFORM=$(uname -s)_$ARCH
$curl -sLO "https://github.com/eksctl-io/eksctl/releases/latest/download/eksctl_$PLATFORM.tar.gz"
$curl -sL "https://github.com/eksctl-io/eksctl/releases/latest/download/eksctl_checksums.txt" | grep $PLATFORM | sha256sum --check
$tar -xzf eksctl_$PLATFORM.tar.gz -C /tmp && rm eksctl_$PLATFORM.tar.gz
$sudo mv /tmp/eksctl /usr/local/bin
$eksctl version
0.202.0
eksctl 명령으로 eks 생성하기
명령어 실행 후 10분 정도 지나면 eks 생성 완료됨
- 클러스터 이름 : demo-eks
- 리전 : ap-northeast-2
- 노드 그룹 이름 : demo-ng
- Node 인스턴스 타입 : t3.medium
- 노드 수 : 3
- 노드 볼륨 크기 : 20G
- 노드 그룹 적용 가용 영역 : ap-northeast-2a,ap-northeast-2c. 생략 시 전체 가용역역 사용
- OpenID Connect (OIDC) 공급자 자동 설정 : Kubernetes의 서비스 계정과 AWS IAM 역할을 연결할 수 있도록 OIDC를 활성화
$ eksctl create cluster \
--name <클러스터 이름> \
--region <리전> \
--with-oidc \
--nodegroup-name <demo-ng> \
--zones ap-northeast-2a,ap-northeast-2c \
--nodes 3 \
--node-type t3.medium \
--node-volume-size=20 \
--managed
설치 확인
$ kubectl get nodes
NAME STATUS ROLES AGE VERSION
ip-192-168-11-26.ap-northeast-2.compute.internal Ready <none> 28m v1.30.2-eks-1552ad0
ip-192-168-42-149.ap-northeast-2.compute.internal Ready <none> 28m v1.30.2-eks-1552ad0
ip-192-168-78-208.ap-northeast-2.compute.internal Ready <none> 28m v1.30.2-eks-1552ad0
'DevOps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KS] EKS 애플리케이션 배포 실습 (0) | 2025.02.13 |
---|---|
[Kubernetes] Kubernetes에서 PV(Persistent Volume)와 PVC(Persistent Volume Claim)의 관계 (0) | 2025.02.12 |
[Kubernetes] CoreDNS: Kubernetes 네트워킹의 핵심을 파헤치다 (0) | 2025.02.08 |
[Kubernetes] 쿠버네티스 서비스 및 로드 밸런싱 이해 (1) | 2025.02.07 |
[Kubernetes] Rolling Update : 점진적 업데이트, 버전 관리 (0) | 2025.02.06 |